카드뉴스 | 발간자료 | FTA 이행에 따른 어업인등 지원센터

FTA 이행에 따른 어업인등 지원센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발간자료

FTA 이행에 따른 어업인등 지원센터

카드뉴스

※ 본 자료의 저작권은 FTA 이행에 따른 어업인등 지원센터에 있으며, 저작권자의 허락없이 무단 복제를 금합니다.

제목, 작성자, 등록일이 포함된 발간물, 카드뉴스 게시판 상세 입니다.

고등어 수입동향

작성자
운영관리자
등록일
2023-11-02
고등어 수입동향
고등어 수입 동향 노르웨이를 중심으로
<우리나라 고등어 주요 수입 상대국('20~'22 평균)> 노르웨이 83.8% 중국 6.4% 러시아 6.3% 영국 0.9% 기타 2.6% (주:'22년에는 '기존 기타어류 피레트(냉동)'에서 '고등어 피레트(냉동)'으로 세분화된 코드가 포함됨, 출처 : 한국무역통계진흥원) 우리나라는 최근 3년 평균 기준 약 5만 2천 톤의 고등어를 수입하였습니다. 주요 원산지는 노르웨이가 83.8%로 대부분을 차지하며, 이외 중국, 러시아가 각 6.4%, 6.3%를 차지합니다.
이번 카드뉴스에서는 노르웨이에서 수입되는 고등어 생산 및 수입 동향*에 대해 살펴볼게요 :) *수입업체 인터뷰 결과를 활용함
<대서양 고등어 분포 해역> Faroe Islands를 중심으로 위로는 Jan Mayen 아래로는 UK 아래 해역까지 Annual migration of Atlantic Mackerel의 분포를 나타낸 지도(출처: https://vardin.fo/atlantic-mackerel/) 노르웨이가 조업하는 대서양 고등어(Atlantic Mackerel)는 북동 대서양 일대에 분포되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고등어의 지방함유량과 크기가 최적화된 시점인 9월부터 11월까지 집중적으로 조업합니다.
현지 부어류 가공 및 수출업체와 우리나라 수입업체를 대표하는 사람이 악수하고 있는 일러스트 현지에서 국내에 반입되기까지 약 45일에서 60일이 소요 우리나라 수입업체는 주로 성어기(9월~11월)에 현지 부어류 가공 및 수출업체(Pelagic Producer)와 계약을 체결합니다. 계약 물량은 컨테이너에 적재되며, 현지에서 국내에 반입되기까지 약 45일에서 60일이 소요됩니다.
보세창고에 보관 후 필요 시 통관 500톤에 대해 무관세 적용 우리나라는 현지 성어기(약 3개월)에 연간 수요 물량의 대부분을 거래하기 때문에, 국내 반입 후 보세창고에 보관하다 필요 시 통관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노르웨이산 고등어는 한-EFTA FTA에 따라 500톤(관세할당물량; TRQ)에 대해 무관세를 적용받으며, 이 외 물량에 대해서는 기준관세 10%가 부과됩니다.
할당관세 적용! 수입산 냉동고등어가 300g 보다 적은 무게를 표현하는 일러스트.  한편, 정부는 고등어 물가를 안정화하고자 지난 해 12월부터 올해 8월까지 수입산 냉동고등어 (300g 이상)에 대해 할당관세를 적용하였습니다. 향후에도 국내 가격 안정을 위해 필요한 경우에는 할당관세 조치가 실시될 수 있습니다.
노르웨이산 고등어는 가공공장에서 200~400g, 300~500g, 400~600g, 600g 이상 크기로 분류됩니다. 우리나라는 주로 300~500g, 400~600g 규격의 원물을 수입하고 있습니다. 원물 이외 뼈 혹은 가시가 제거된 피레트 형태도 수입되고 있습니다.
노르웨이의 고등어 공급 여력은 영국 등 주변국 해역과의 입어권 협상 결과*, 고등어 회유 경로 변화 등의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브렉시트 이후 노르웨이는 영국과의 입어권 협상 결렬로 2022년까지 영국 해역에서 조업이 불가하였음 우리나라는 노르웨이에 대한 수입 비중이 높은 만큼 현지 고등어 생산 및 수출 동향에 대해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고등어 수입 동향 - 노르웨이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