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TA 이행에 따른 어업인등 지원센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FTA 소식

FTA 이행에 따른 어업인등 지원센터

FTA 체결국 주요 수입 품목 정보

※ 본 자료의 저작권은 FTA 이행에 따른 어업인등 지원센터에 있으며, 저작권자의 허락없이 무단 복제를 금합니다.

2023년도 주요국 수산물 품목별 수입지도 이미지 및 내용 입니다.
2023년도 주요국 수산물 품목별 수입지도 이미지 2023년 주요국 수산물 품목별 수입지도 상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 수입하고 있는 주요국가는 총 10개 국가(중국, 일본, 대만, 베트남, 러시아, 노르웨이, 미국, 멕시코, 페루, 칠레)입니다. 주요국가/품목별 상세 수입량, 품목내역으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중국(1,327.9 백만달러 / 374.9 천톤) 수입량 - 물량 2022년(377.9천톤), 2023년(374.9천톤) 전년대비 -0.8% 하락 / 품목별 - 오징어(60.3천톤), 까나리(32.5천톤), 바지락(26.7천톤), 낙지(25.2천톤), 아귀(25.0천톤)] [러시아(1,094.9 백만달러 / 315.7 천톤) 수입량 - 물량 2022년(546.2천톤), 2023년(315.7천톤) 전년대비 -42.2% 하락 / 품목별 - 명태(173.3천톤), 어란(24.5천톤), 청어(22.5천톤), 청어리(15.9천톤), 대구(15.3천톤)] [베트남(812.8 백만달러 / 163.4 천톤) 수입량 - 물량 2022년(179.3천톤), 2023년(163.4천톤) 전년대비 -8.8% 하락 / 품목별 - 새우(43.6천톤), 쭈꾸미(20.8천톤), 젓새우(9.8천톤), 어분(0.8천톤), 낙지(4.2천톤)] [노르웨이(573.6 백만달러 / 83.2 천톤) 수입량 - 물량 2022년(84.0천톤), 2023년(83.2천톤) 전년대비 -1.0% 하락 / 품목별 - 고등어(51.3천톤), 연어(27.6천톤), 캐비아(1.0천톤), 어분(0.8천톤), 볼락(0.7천톤)] [페루(241.2 백만달러 / 70.8 천톤) 수입량 - 물량 2022년(59.7천톤), 2023년(70.8천톤) 전년대비 18.7% 상승 / 품목별 - 오징어(58.8천톤), 새우(8.2천톤), 어분(2.2천톤), 붕장어(1.2천톤), 캐비아(0.3천톤)] [미국(218.7 백만달러 / 63.8 천톤) 수입량 - 물량 2022년(63.8천톤), 2023년(83.8천톤) 전년대비 -0.1% 하락 / 품목별 - 명태(23.4천톤), 가자미(10.5천톤), 어란(4.7천톤), 임연수어(2.9천톤), 볼락(2.7천톤)] [칠레(174.5 백만달러 / 60.6 천톤) 수입량 - 물량 2022년(61.0천톤), 2023년(60.6천톤) 전년대비 -0.7% 하락 / 품목별 - 어분(30.3천톤), 오징어(18.8천톤), 연어(8.3천톤), 홍합(1.1천톤), 어유(0.6천톤)] [멕시코(40.2 백만달러 / 38.3 천톤) 수입량 - 물량 2022년(67.6천톤) 2023년(38.3천톤) 전년대비 -43.3% 하락 / 품목별 - 정어리(11.3천톤), 해파리(1.4천톤), 해삼(1.3천톤), 소라(1.0천톤), 삼치(1.0천톤)] [일본(168.3 백만달러 / 31.8 천톤) 수입량 - 물량 2022년(37.8천톤) 2023년(31.8천톤) 전년대비 -15.8% 하락 / 품목별 - 가리비(10.6천톤), 돔(4.7천톤), 방어(3.2천톤), 명태(1.3천톤), 가오리(1.0천톤)] [대만(110.1 백만달러 / 29.4 천톤) 수입량 - 물량 2022년(25.1천톤), 2023년(29.4천톤) 전년대비 17.0% 상승 / 품목별 - 꽁치(19.5천톤), 오징어(2.8천톤), 새치(2.3천톤), 고등어(1.4천톤), 상어(0.6천톤)] 對세계 주요 5개 수입품목(단위:천톤)으로는 2022년 명태(377.3천톤), 오징어(138.4천톤), 새우(95.8천톤), 고등어(56.2천톤), 어분(67.0천톤) / 2023년 명태(198.9천톤 전년대비 -47.3% 하락), 오징어(155.8천톤 전년대비 12.6% 상승), 새우(85.8천톤 전년대비 -10.5% 하락), 고등어(58.5천톤 전년대비 4.1% 상승), 어분(56.9천톤 전년대비 -15.2% 하락)으로 집계됩니다. 對세계 수입물량(단위:천톤)으로는 2022년 전체(1,709.3천톤), 상위 10개국(1,502.5천톤), 기타국(206.8천톤) / 2023년 전체(1,431.2천톤 전년대비 증감률 -16.3% 하락), 상위 10개국(1,232.0천톤 전년대비 증감률 -18.0% 하락), 기타국(199.3천톤 전년대비 증감률 -3.6% 하락)으로 집계됩니다. 對세계 수입금액(단위:백만달러)으로는 2022년 전체(6,707.7백만달러), 상위 10개국(5,286.6백만달러), 기타국(1,421.1백만달러) / 2023년 전체(6,119.3백만달러 전년대비 증감률 -8.8% 하락), 상위 10개국(4,762.1백만달러 전년대비 증감률 -9.9% 하락), 기타국(1,357.1백만달러 전년대비 증감률 4.5% 하락)으로 집계됩니다. 자료 출처(원자료:한국무역통계진흥원, 주 : 소금 제외)
2022년도 주요국 수산물 품목별 수입지도 이미지 및 내용 입니다.
2022년도 주요국 수산물 품목별 수입지도 이미지 2022년 주요국 수산물 품목별 수입지도 상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 수입하고 있는 주요국가는 총 10개 국가(중국, 일본, 대만, 베트남, 러시아, 노르웨이, 미국, 멕시코, 페루, 칠레)입니다. 주요국가/품목별 상세 수입량, 품목내역으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중국(1,283백만 달러) 수입량 - 2021년(377천톤), 2022년(378천톤) 전년대비 +0.3% 상승 / 품목별 - 오징어(60.1천톤), 까나리(29.4천톤), 바지락(28.2천톤), 아귀(24.2천톤), 낙지(23.4천톤)] [일본(193백만 달러) 수입량 - 2021년(32천톤), 2022년(38천톤) 전년대비 +16.6% 상승 / 품목별 - 가리비(12.0천톤), 돔(5.6천톤), 멍게(3.0천톤), 방어(2.7천톤), 명태(1.8천톤)] [대만(121백만 달러) 수입량 - 2021년(31천톤), 2022년(25천톤) 전년대비 -19.5% 하락 / 품목별 - 꽁치(16.9천톤), 새치(3.4천톤), 오징어(0.8천톤), 상어(0.7천톤), 틸라피아(0.3천톤)] [베트남(939백만 달러) 수입량 - 2021년(171천톤), 2022년(179천톤) 전년대비 +4.6% 상승 / 품목별 - 새우(49.6천톤), 쭈꾸미(21.4천톤), 젓새우(8.1천톤), 어분(6.7천톤), 어유(6.6천톤)] [러시아(1,423백만 달러) 수입량 - 2021년(490천톤), 2022년(546천톤) 전년대비 +11.6% 상승 / 품목별 - 명태(346.6천톤), 연어(38.2천톤), 대구(29.5천톤), 청어(29.1천톤), 정어리(22.0천톤)] [노르웨이(613백만 달러) 수입량 - 2021년(94천톤), 2022년(84천톤) 전년대비 -10.5% 하락 / 품목별 - 고등어(44.5천톤), 연어(29.6천톤), 어분(1.4천톤), 캐비아(1.3천톤), 볼락(1.1천톤)] [미국(252백만 달러) 수입량 - 2021년(73천톤), 2022년(64천톤) 전년대비 -12.5% 하락 / 품목별 - 명태(28.1천톤), 가자미(8.2천톤), 어란(3.5천톤), 어분(3.2천톤), 대구(2.4천톤)] [멕시코(60백만 달러) 수입량 - 2021년(47천톤), 2022년(68천톤) 전년대비 +42.9% 상승 / 품목별 - 해파리(13.6천톤), 해삼(1.2천톤), 민대구(1.1천톤), 소라(0.8천톤), 삼치(0.6천톤)] [페루(227백만 달러) 수입량 - 2021년(64천톤), 2022년(60천톤) 전년대비 -6.8% 하락 / 품목별 - 오징어(42.6천톤), 해파리(6.0천톤), 어분(5.9천톤), 어유(1.3천톤), 붕장어(1.2천톤)] [칠레(176백만 달러) 수입량 - 2021년(59천톤), 2022년(61천톤) 전년대비 +2.9% 상승 / 품목별 - 어분(35.8천톤), 오징어(14.9천톤), 연어(7.5천톤), 홍합(1.0천톤), 홍어(0.6천톤)] 2022년 부류별 수입량 비중은 어류 63.5% / 연체동물 13.1% / 갑각류 9.1% / 패류 4.6% / 해조류 0.7% / 기타분류 8.9% 입니다. 2022년 부류별 수입량(단위 천 톤)으로는 어류 2021년 1,038천톤 2022년 1,086천톤 / 연체동물 2021년 222천톤 2022년 224천톤 / 갑각류 2021년 153천톤 2022년 156천톤 / 패류 2021년 76천톤 2022년 78천톤 / 해조류 2021년 10천톤 2022년 13천톤 / 기타분류 2021년 148천톤 2022년 153천톤으로 집계됩니다. 2022년 품목형태별 수입량(전년비교 포함)으로는 2021년 1,648천톤 중 냉동 74.1%(1,221천톤), 조미가공 6.6%(108천톤), 활·신선냉장 4.3%(71천톤), 기타 15.0%(248천톤) 이며 2022년 1,709천톤 중 냉동 74.9%(1,281천톤), 조미가공 6.1%(105천톤), 활·신선냉장 3.8%(65천톤), 기타 15.2%(259천톤)으로 집계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