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뉴스 | 발간자료 | FTA 이행에 따른 어업인등 지원센터

FTA 이행에 따른 어업인등 지원센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발간자료

FTA 이행에 따른 어업인등 지원센터

카드뉴스

※ 본 자료의 저작권은 FTA 이행에 따른 어업인등 지원센터에 있으며, 저작권자의 허락없이 무단 복제를 금합니다.

제목, 작성자, 등록일이 포함된 발간물, 카드뉴스 게시판 상세 입니다.

세계대게생산과 국내수급동향

작성자
운영관리자
등록일
2023-09-20
세계대게생산과 국내수급동향
세계대게생산과 국내수급동향
최근 매체에서는 국내 시장에서 러시아산 대게 가격이 급감한 상황에 주목하면서, 서방 국가의 러시아산 제품 수입 금지 조치와 중국의 경기 침체 등을 원인으로 보았습니다. 러시아산 활어 대게 1kg의 노량진수산시장 평균 낙찰 가격이 6월 1일 기준으로 25,700원을 기록하면서 5월 가격인 41,700원 대비 3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출처: 이코노미스트(http://economist.co.kr/article/view/ecn202306030015)
<세계 대게 자원 분포> 대게(Chinoecetes opilio)는 캄차카 반도, 알래스카, 그린란드 등에 서식하고 있으며, 주요 생산국은 캐나다와 러시아입니다. 캐나다와 러시아는 2021년 기준 세계 대게 생산량에서 각각 42.2%, 31.0%의 비중을 차지하였습니다.
<세계 대게 생산량 추이> 2012년~2021년의 캐나다, 러시아, 한국, 미국, 노르웨이, 기타국의 세계 대게 생산량 추이를 보여주는 그래프 2012년 캐나다 > 미국 > 한국 > 러시아 > 기타국, 2013년 캐나다 > 한국 > 미국 > 러시아 > 기타국, 2014년 캐나다 > 한국 > 러시아 > 미국 > 기타국 > 노르웨이, 2015년 캐나다 > 한국 > 미국 > 러시아 > 기타국 > 노르웨이, 2016년 캐나다 > 러시아 > 한국 > 미국 > 기타국 > 노르웨이, 2017년 캐나다 > 러시아 > 한국 > 미국 > 기타국 > 노르웨이, 2018년 캐나다 > 러시아 > 한국 > 미국 > 기타국 > 노르웨이, 2019년 캐나다 > 러시아 > 한국 > 미국 > 기타국 > 노르웨이, 2020년 캐나다 > 러시아 > 미국 > 한국 > 기타국 > 노르웨이, 2021년 캐나다 > 러시아 > 미국 > 한국 > 기타국 > 노르웨이 (주: Queen crab, Tanner crabs, Tanner crabs nei의 생산량, 출처: FAO(2023), Fishery and Aquaculture Statistics) 전 세계적으로 대게는 평균 17만 6천 톤* 가량 생산되고 있으며, 2015년 이후 감소하다가 최근 상승세입니다. *2019~2021년 평균
<국내 대게 생산> 국내 대게 생산량과 금액(백만원)은 2015년에서 2016년은 하락하다가 2018년까지 상승하고 2020년까지 하락하다가 2021년에 상승한 후 2023년까지 하락 추세입니다. 한편, 우리나라의 대게 생산의 경우 증감을 반복하는 가운데, 올해 생산량은 6월 누적 기준 1,382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4.8% 증가하였습니다.
<우리나라의 활 대게 무역 비중(2022년)> 2022년의 우리나라의 활 대계 무역 비중 그래프 수입 : 러시아 100.0%, 노르웨이 0%, 수출 : 홍콩 71.7%, 대만 20.0%, 싱가포르 2.5%, 중국 2.0%, 필리핀 1.2%, 기타국 5.8% 우리나라 국내 시장에서는 활 대게가 주로 소비되기 때문에 지리적으로 가까운 러시아로부터 활 대게 수입하고 있습니다. 한편, 우리나라가 수입한 러시아산 활 대게 중 일부 물량은 홍콩, 대만 등 중화권 국가로 수출되었는데, 이는 중국의 수입 검역 강화, 명절 대비 수요 증가, 국내 내수 감소 등에 따른 수입재수출인 것으로 파악됩니다.
우리나라의 대게 수급 동향으로 자세한 사항은 아래 <우리나라의 대게 수급 동향> 참고

<우리나라의 대게 수급 동향>

(단위:톤, %)
우리나라의 대게 수급 동향으로 2017~2022(비중), 전년대비에 따른 공급(생산, 수입), 공급=수요, 수요(소비, 수출)에 관한 정보제공
2017 2018 2019 2020 2021(비중) 전년대비
공급 생산 1,789 2,162 2,134 1,740 1,971 1,940(16.8) -1.6
수입 6,845 7,434 7,311 8,390 7,768 9,587(83.2) 23.4
공급=수요 8,634 9,596 9,446 10,130 9,739 11,527 18.4
수요 소비 8,517 9,428 9,335 9,968 9,561 11,151(96.7) 16.6
수출 117 168 110 162 178 376(3.3) 111.6

출처: 통계청, 무역통계진흥원

우리나라의 대게 소비는 2022년 기준 1만 1천 톤 수준으로 전년 대비 16.6% 증가하였으며, 최근 국내 시장에서 대게 소비가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내 시장에서 대게 공급이 생산보다는 수입의 비중이 크고 전적으로 러시아산 대게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언제든지 국제정서의 변화에 따라 가격이 크게 변동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수급 안정화 대책 마련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