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뉴스 | 발간자료 | FTA 이행에 따른 어업인등 지원센터

FTA 이행에 따른 어업인등 지원센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발간자료

FTA 이행에 따른 어업인등 지원센터

카드뉴스

※ 본 자료의 저작권은 FTA 이행에 따른 어업인등 지원센터에 있으며, 저작권자의 허락없이 무단 복제를 금합니다.

제목, 작성자, 등록일이 포함된 발간물, 카드뉴스 게시판 상세 입니다.

수산물 안전성 확보를 위한 우리나라 정부의 노력

작성자
운영관리자
등록일
2023-08-18
수산물 안전성 확보를 위한 우리나라 정부의 노력
수산물 안정성 확보를 위한 우리나라 정부의 노력
수산물은 맛도 좋고 영양학적으로 몸에도 좋은 식품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생선회 낙지연포탕
주요국별 1인당 연간 수산물 소비량 South Korea 58.4kg, Japan 50.2kg, China 39.5kg, USA 23.7kg, EU 22kg 출처 : 유엔 식량농업기구(FAO), 세계수산양식현황(SOFIA) 2013-2015년 기준 통계를 인용, 재구성 우리나라 1인당 연간 수산물 소비량 58.4kg으로 주요국 중 1위 우리나라의 1인당 수산물 소비량은 58.4kg으로 주요국 가운데 수산물 소비 1위를 차지할 정도로 수산물 소비가 많은 국가입니다.
오염사고와 수산물 안정성에 대한 우려 <바다가 오염수로 오염되는 상황에 NO! 반대한다! 팻말을 들고 있는 사람들 : 일본 원전 오염수 관련> <발열, 복통, 두드러기, 구토 등의 증상 : 식중독 관련> 하지만, 최근 일본 원전 오염수 방류 예정 등 각종 오염사고에 따른 수산물 안전성에 대한 관심과 우려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수산물 위해요인 인지도 조사 결과> 그래프로 식중독균 : 모른다 6.8, 본 적 있다 16.1, 알고 있다 77.1(3.90점), 노로바이러스 : 모른다 10.2, 본 적 있다 19.6, 알고 있다 70.2(3.79점), 패류독소 : 모른다 20.9, 본 적 있다 25.6, 알고 있다 53.5(3.42점), 중금속 : 모른다 9.1, 본 적 있다 19.9, 알고 있다 71.0(3.81점), 방사능 : 모른다 9.5, 본 적 있다 19.6, 알고 있다 70.9(3.80점), 농약, 항생제 등 : 모른다 13.1, 본 적 있다 27.6, 알고 있다 59.3(3.58점), 원산지 둔갑 : 모른다 7.9, 본 적 있다 19.4, 알고 있다 72.7(3.90점), 미세플라스틱 : 모른다 11.8, 본 적 있다 22.3, 알고 있다 65.9(3.71점). <수산물 위해요인별 위험도 조사 결과> 그래프로 식중독균 : 위험도 낮음 4.6, 보통 17.7, 위험도 높음 77.7(4.00점), 노로바이러스 : 위험도 낮음 5.1, 보통 17.7, 위험도 높음 77.2(4.02점), 패류독소 : 위험도 낮음 4.8, 보통 22.4, 위험도 높음 72.8(4.00점), 중금속 : 위험도 낮음 5.0, 보통 15.8, 위험도 높음 79.2(4.14점), 방사능 : 위험도 낮음 5.4, 보통 14.7, 위험도 높음 79.9(4.22점), 농약, 항생제 등 : 위험도 낮음 6.2, 보통 21.5, 위험도 높음 72.3(3.93점), 원산지 둔갑 : 위험도 낮음 6.2, 보통 29.3, 위험도 높음 64.5(3.78점), 미세플라스틱 : 위험도 낮음 5.3, 보통 18.5, 위험도 높음 76.1(4.00점) 출처: 한국해양수산개발원(2022), 수산물 안전성 관리체계 개선방안 연구 실제로, 수산물 위해요소에 대한 조사 결과 '식중독균'과 '원산지 둔갑'에 대한 인지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위험도에 대해서는 '방사능'에 대한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나라 정부는 수산물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원산지표시 점검> 마트에서 원산지 표시를 점검하고 있는 두 직원 사진 기 간 : 2개월(23.05.01(월) ~ 23.06.30(금)) 점검내용 ① 올해 수입이력이 있고, 소비량이 많은 품목을 중점적으로 확인[가리비, 참돔, 우렁쉥이(멍게)] ② 수입수산물 유통이력관리시스템에 등록된 업체 대상 점검 출처 : 해양수산부 보도자료(2023.04.20.), 수입수산물에 대한 원산지표시 두 달간 특별점검 실시 먼저, '수입수산물에 대한 원산지표시에 대한 특별점검'이 실시되고 있습니다. 이번 특별 점검은 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 예정 등에 따른 추가 조치로 이전에 비해 기간을 더 늘려서 시행하고 있습니다.
해양수산부 장관 및 수산물안전 국민소통단의 수산물 안전 관련 활동(부산) 해양수산부 장관에게 수산물의 안전에 관한 실험 도구를 활용해 설명하는 연구원과 설명을 듣고 있는 여러 관련 부처 직원들 사진 출처:대한급식신문(https://www.f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9032)(검색일:2023.05.24.) 그리고, 수산물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해 구성된 '수산물안전 국민소통단'을 위촉하여 직접 수산물 안전관리 현장을 점검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수입수산물 유통이력관리 처리절차> 신고의무자는 양도 후 5일 이내 신고하고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 각 지원에서 신고내용 확인 → (장기)미신고업체 확인 → 실태점검 실시 → 위반행위 확인 → 과태료 부과 또는 고발조치 또한, '수입수산물 유통이력관리 제도'를 통해 유통단계별 거래명세를 의무적으로 신고하도록 하여 수산물 안전관리를 강화하는 등 이 외에도 정부의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수산물 안전성에 대한 관심과 우려가 높아지고 있어 수산물 소비와 생산 등 수산업의 전반적인 어려움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제는 과거에 비해 더 강화된 방법으로 지속적인 수산물 안전성 확보에 대한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