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뉴스 | 발간자료 | FTA 이행에 따른 어업인등 지원센터

FTA 이행에 따른 어업인등 지원센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발간자료

FTA 이행에 따른 어업인등 지원센터

카드뉴스

※ 본 자료의 저작권은 FTA 이행에 따른 어업인등 지원센터에 있으며, 저작권자의 허락없이 무단 복제를 금합니다.

제목, 작성자, 등록일이 포함된 발간물, 카드뉴스 게시판 상세 입니다.

우리나라 갈치 수급동향

작성자
운영관리자
등록일
2023-08-18
우리나라 갈치 수급동향
우리나라 갈치 수급동향 우리나라 갈치의 수급 동향을 알아봅시다.
우리나라 갈치는 2022년 기준 5만 4천톤, 4,495억 원이 생산되었습니다 국내 갈치의 지역별 생산비중(2022년) 제주도 48% 전라남도 20% 경상남도 14% 부산광역시 14% 기타 4% 갈치는 주로 제주도, 전라남도, 경상남도 등에서 어획되고 있습니다. 갈치를 생산하는 업종은 근해연승, 근해안강망, 연안복합 등이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갈치 수출입 추이 (2017~2022년) 수출량은 2017~2019년까지 상승하다가 2020년에 하락했다가 2021년, 2022년에는 상승하였습니다. 수입량은 2017~2019년까지 하락하다가 2020년에 상승한 뒤 2021년, 2022년에는 점차 하락하였습니다. 수입액은 2017~2019년까지 하락하다가 2020년에 상승한 후 2021년, 2022년에는 점차 하락하였습니다. 수출액은 2017~2019년까지 상승하다가 2020년에 하락한 후 2021년, 2022년에는 점차 상승하였습니다. 국내 갈치의 수출입 규모는 2022년 기준 1만 9천톤, 5천 7백만 달러를 기록하였습니다. 그 중 수입량은 1만 3천 톤(4천 4백만 달러)로 수출은 수입 대비 수출 규모는 미미한 수준입니다.
우리나라의 對세계 국가별 갈치 수입량 비중 (2022년) 세네갈 33% 모로코 16% 에콰도르 12% 오만 10% 남아프리카공화국 7% 베네수엘라 5% 기타 17% 주요 수입상대국은 세네갈, 모로코, 에콰도르, 오만 등입니다.
국가별 갈치 수입량 추세 (2021~2022년) 그래프로 세네갈의 수입량은 2021년 보다 2022년이 -16.7% 하락하였습니다. 모로코의 수입량은 2021년 보다 2022년이 -3.0% 하락하였습니다. 에콰도르의 수입량은 2021년 보다 2022년이 19.5% 상승하였습니다. 오만의 수입량은 2021년 보다 2022년이 8.1% 상승하였습니다.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수입량은 2021년 보다 2022년이 25.7% 상승하였습니다. 베네수엘라의 수입량은 2021년 보다 2022년이 -65.7% 하락하였습니다. 최근 주요 수입산 중 조업 부진 및 경기불황 등으로 세네갈산, 베네수엘라산 등의 수입이 크게 감소하였습니다. 반면, 상대적으로 수입단가가 낮은 에콰도르산, 남아프리카공화국산 등의 수입은 증가하였습니다. 가격이 낮은 수입산 갈치는 주로 급식용 등 식자재로 소비되고 있습니다.
갈치는 어획방법이 크게 채낚기와 자망으로 구분되며, 방법에 따라 품질에 차이가 있습니다. 갈치는 대부분 냉동품으로, 냉동 원물(라운드) 혹은 머리·꼬리를 제거(드레스)한 형태로 수입되고 있습니다. 수입산 갈치 라운드 이미지와 수입산 갈치 드레스 이미지 (* 출처: 네이버 카페 수유시(https://cafe.naver.com/iyo5345)(검색일 : 2023. 05. 15)) 중국, 일본 등 우리나라와 인접한 국가에서는 신선·냉장품으로도 일부 수입되고 있습니다.
최근 갈치 수입은 감소세가 지속되다가, 올해 1분기부터 저조했던 수입이 회복되는 추세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올해 1분기에는 전년 동기 대비 62.0% 증가한 3.8천 톤이 수입되었습니다. 우리나라 전체 갈치공급에서 수입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20% 수준이며, 수입국이 다변화되어 있어 안정적으로 공급되고 있는 편입니다. 그러나 수입산 갈치는 소비가 대중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이석 등 품질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므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공급 및 가격 변화에 대응해야 할 것입니다.